우리나라에서 대추는 1970년대까지 복조 이외에는 품종명이 없이 주산지의 명칭만 붙였으나 1980년에 무등대추와 금성대추를 선발하여 보급중에 있었고, 수집종중 jj-3을 1976년부터 1980년까지 생육상태, 과실특성 등을 조사한 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1986년에 "원예-아-01로 계통명을 부여하였고, 1987년에 생과 및 건과품질이 우수하며 수량도 높아서 생과 및 건과 우량품종으로 월출(月出)대추를 선발하였다.
(1) 주요특성
가. 생육 및 나무의 특성
월출대추는 발아기가 4월24일로서 무등 및 금성대추와 거의 같고 전엽기는 5월29일로서 약간 빠른 편이다. 대추품종의 대부분은 6월중순부터 7월중순까지 꽃이 피는데 이때 장마와 개화기가 겹쳐서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치나 월출대추는 오후 개화성 품종으로서 개화기간이 길고 개화수가 많기 때문에 개화기의 불량한 기상조건하에서도 비교적 결실량이 많은 품종이다.
수세는 강한 편이고 자람세는 개장성이다. 재배상 유의점이 별로 없는 품종으로서 전국 어느 곳에서나 무난하게 재배할 수 있다고 본다. 대추는 대부분이 자가 결실율이 낮기 때문에 다른 우량품종과 혼식하여 재배하여야 높은 수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질소질 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잘 결실되지 않으므로 질소비료를 알맞게 시비하여야 한다.
나. 과실특성
월출대추의 과형은 장원형이고, 과중은 10.1g으로 대과종에 속한다. 당도는 29.8。bx로서 무등 및 금성대추와 거의 비숫하다. 과피색은 암적갈색이며, 외관이 아름답고 과육이 연하며, 과육색은 백황록색으로 생과로도 품질이 매우 좋다.
월출대추의 숙기는 10월6일인데 수확기에 비가 오면 대부분의 대추는 열과가 많으나 월출대추는 열과율이 5.2%로서 무등이나 금성대추보다 낮으며 부패율도 적은 편이다. 월출대추의 건과율은 무등 및 금성대추보다 높은 39.2%이며, 건과품질은 주로 색택, 부패과, 주름정도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특히 이 품종은 건과품질도 매우 우수하다
'[대추향기 여울] > 대추향기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추의 품종 : 산조 (0) | 2011.09.26 |
---|---|
대추의 품종 : 복조 (0) | 2011.09.26 |
대추의 품종 : 금성대추 (0) | 2011.09.26 |
대추의 품종 : 무등대추 (0) | 2011.09.26 |
대추의 품종 : 상왕대추 (0) | 201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