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추향기 여울]/대추효능활용및사진

대추의 약리 작용 및 약용방법

맹길스 2011. 4. 12. 12:25

 

(가) 과실


대추는 완화제(緩和劑), 이뇨제(利尿劑), 강장제(强腸劑),

근육급박증상(筋肉急迫症狀), 견인통(牽引痛), 지각과민증(知覺過敏症),

신체동통(身體疼痛), 종통(腫痛)등의 완화제로 쓰인다.

또한 담즙증, 만성기관지염,결핵, 출혈성 질환, 강정 및 체력회복,

거담제 등에 효능이 있다. 그밖에 진정제, 혈압강하, 배뇨촉진,

항염증제 등 46종의 약리효과가 있다고 한다.

 (나) 종자


대추 및 산조종자〔酸棗仁〕는 최면(催眠), 신경안정, 강장, 불면증

등에 효능이 있다. 특히 산조인은 불면증(不眠症) 및 다면증(多眠症)

외에도 건위(健胃)·진정(鎭靜)작용을 한다.

종자 내에는 최면작용이 너무 강하여 독성을 가질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독성은 산조인이 대추인보다 더 강하다. 종자의 독성을

순화시키기 위하여 약제로 사용하기 전에 찌거나 볶아서 사용해야 한다.

(다) 약용 방법


대추는 양기(陽氣)를 보강하고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한다. 오래 먹으면 안색이 좋아지고 몸이 가벼워지며 장수(長壽)할 수 있다. 그러나 주의할 점은 파와 함께 먹으면 오장(五臟)이 편하지 않고 어류와 먹으면 복통이 일어나는 수가 있다.

1). 위카타르, 의경련증


대추 2개, 매실 1개, 살구씨 7개를 부드럽게 찧어 온수 또는 약간의 식초와 함께 복용한다.


2). 위허약무력증, 식욕부진, 소화불량


씨를 뺀 대추를 타지 않을 정도로 은근한 불에 구어 말린 후 가루로 만든다. 매일 식후 마다 끓은 물에 큰 스푼으로 1개씩 타서 장기복용하면 위를 순화시키고 식욕을 증진케 한다. 병에 관계없이 복용해도 혈기가 좋아진다.


3). 만성대장하혈(慢性大腸下血)


대추 10개와 황기 3.75g을 달여서 차를 마시듯 하면 된다. 이것이 1회분으로서 증세가 심한 사람은 3회 정도 복용한다.

 

4). 감맥대추탕


감맥대추탕은 히스테리, 신경쇠약, 불면증에 효능이 있다. 대추 6g, 감초 5g, 밀 2g을 물 400㎖에 넣고 끓여서 200㎖가 되도록 하여 1일 3회 복용한다.


5). 산조인탕(酸棗仁湯)


불면증, 다면증(多眠症), 신경쇠약에 유효하다.

산조인 15g, 복령(茯笭) 5g, 지모(知母) 3g, 천궁(川芎) 3g, 감초(甘草) 1g을 물 400㎖에 넣고 끓여서 200㎖가 되도록 한 후 1일 3회 복용한다.


6). 귀비탕


귀비탕은 빈혈, 건망증, 불면증에 효능이 있다. 산조인 3g, 황기(黃耆) 2g, 인삼 3g, 출(朮) 3g, 용안육(龍眼肉) 3g, 당귀(當歸) 2g, 원지(遠志) 1.5g, 감초 1g, 목향(木香) 1g, 생강 1.5g, 대추 1.5g 등을 물 400㎖에 넣고 끓여서 200㎖가 되도록 한 후 1일 3회 복용한다.


7). 배농탕(排膿湯)


종기의 치료에 유효하다.

길경(桔梗) 3g, 감초 3g, 생강 3g, 대추 6g을 물과 함께 달여서 1일 3회 따뜻하게 복용한다.


8). 인삼지골피산(人蔘地骨皮散)


결핵성 질환의 해열제로 유효하다.

인삼 4g, 지골피(地骨皮) 4g, 시호(柴胡) 4g, 황기 4g, 생지황(生地黃) 4g, 지모(知母) 3g, 석고 3g, 복령 2g, 생강 1편, 대추 1편 등을 물에 달여서 1일 3회 복용한다.


9). 황금탕(黃芩湯)


장티프스 및 대장(大腸) 카타르에 유효하다.

대추 4g, 황금(黃芩) 4g, 감초 3g, 작약 3g을 물에 넣고 달여서 1일 3회 복용한다.


10). 소시호탕(小柴胡湯)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및 간염 등에 효능이 높다.

시호 7g, 반하(半夏) 5g, 생강 4g, 황금(黃芩) 3g, 대추 3g, 인삼 3g, 감초 2g을 물에 넣고 달여서 1일 3회 따뜻하게 하여 복용한다.


11). 당귀건중탕


부인병의 보혈(補血)과 강장약(强壯藥)의 효능이 있다.

당귀 4g, 계지(桂枝) 4g, 생강 4g, 대추 4g, 작약 5g, 감초 2g을 물에 넣고 달여서 1일 3회 따뜻하게 복용한다. 쇠약한 사람에게는 교태를 가하여 복용시킨다.


12). 오수유탕


각기(脚氣) 및 급성위장염에 유효하다.

오수유 3g, 대추 4g, 인삼 2g, 생강 4g을 물에 넣고 달여서 1일 3회 복용한다.


13). 흡협환(夿莢丸)


거담제(祛痰劑), 기관지염 및 기침을 해소하는데 효능이 있다.

흡협과 대추과육을 반씩 섞고 벌꿀을 가하여 환(丸)을 만든다.

1회에 4알씩 1일 3회 복용한다.


14). 마황연요적소두탕


마황연요적소두탕은 피부염, 내공성신담(內攻性腎痰) 및 황저(黃疽)에 유효하다.

마황(麻黃) 3g, 연요 3g, 생강 3g, 대추 3g, 상백피(桑白皮) 3g, 은행알 4g, 팥 10g, 감초 1g을 물400㎖에 넣고 달여서 200㎖로 하여 1일 3회 복용한다.


15). 갈근탕(葛根湯)


갈근탕은 발한(發汗), 해혈완화제, 열성병 및 두통에 효과가 있다.

갈근 8.5g, 마황 6.5g, 대추 6.5g, 생강 6.5g, 계지 50g, 작약 50g, 감초 50g을 달여서 1일 3회 따뜻하게 복용한다.


16). 정력대추사폐탕


정력대추사폐탕은 호흡곤란 및 부패성기관지염에 유효하다.

대추 12g을 물 200㎖에 넣고 달여서 100㎖까지 졸여지면 정력(熖嵫) 2g을 넣고 계속 달여서 50㎖가 되게 한 후 복용한다.


17). 계지탕(桂枝湯)
계지탕은 두통, 발열, 감창(感昌), 열성병(熱性病)의 초기증세에 효력이 있다. 계피(桂皮) 4g, 대추 4g, 작약 4g, 생강 4g, 감초 2g을 달여서 1일 3회 따뜻하게 복용한다.


18). 방이황기탕(防已黃耆湯)


방이황기탕은 신경통, 각기병 및 수종(水腫)에 유효하다.

방이(防已) 5g, 황기 5g, 대추 3g, 출 3g, 생강 3g, 감초 1.5g을 달여서 1일 3회 따뜻하게 복용한다.


19).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


계지부자탕은 두통, 발열에 의한 신체동통(身體疼痛), 신경통 및 류마티스 등에 효력이 높다.

계지 4g, 부자 1g, 대추 3g, 생강 3g, 감초 2g을 달여서 1일 3회 따뜻하게 복용한다.


20).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보중익기탕은 신체가 권태롭거나 미열이 있고 식욕이 없을 경우,

또는 늑막염 및 폐염카타르에 유효하다.

황기 4g, 대추 2g, 인삼 4g, 출 4g, 진피(陳皮) 2g, 생강 2g, 감초 1.5g, 시호 2g, 승마(升麻) 1g을 물 400㎖에 넣고 달여서 반량으로 졸인 다음 1일 3회 따뜻하게 복용한다.


21). 황연탕(黃連湯)


황연탕은 복통 및 위장병에 효과가 있다.

황연(黃連) 3g, 대추 3g, 감초 3g, 말린 생강 3g, 인삼 3g, 계지 3g, 반하 6g을 400㎖의 물에 넣고 300㎖가 될 때까지 달여서 1일 3회 따뜻하게 복용한다.

22). 사간마황탕(射干麻黃湯)


사간마황탕은 기관지염, 기관지단식(氣管支端息) 및 폐기종(肺氣腫)에 유효하다.

사간 2.5g, 마황 3g, 대추 2g, 생강 3g, 오미자(五味子) 3g, 세신(細辛) 2g, 자원(紫苑) 2g, 관동화(款冬花) 2g, 반하 4g을 달여서 1일 3회 따뜻하게 복용한다.


23). 맥문동탕(麥門冬湯)


맥문동탕은 천식과 백일해(百日咳)에 유효하다.

 맥문동 20g, 대추 2.5g, 인삼 2g, 반하 10g, 감초 2g, 멥쌀 5g을 달여서 1일 3회 차게 해서 복용한다.


24). 월비탕(越婢湯)


월비탕은 부종성각기(浮腫性脚氣), 단독(丹毒), 피부병, 내공성신염(內攻性腎炎)에 효과가 있다.

마황 6g, 석고 8g, 대추 3g, 생강 3g을 달여서 1일 3회 따뜻하게 복용한다.


25). 라마탕(蘿摩湯)


강정제(强精劑)로 효과가 크다.

라마자(蘿摩子) 10g, 산조인 12g, 지골피(地骨皮) 12g, 오미자(五味子) 12g, 백자인(柏子仁) 12g, 말린지황〔乾地黃〕12g을 가루로 만들어 섞고 1일 3회 매일 소량씩 복용한다.

이상과 같은 처방외에도 대추 과실을 이용한

십조탕(十棗湯), 다감초탕(多甘草湯), 소건중탕(小建中湯), 황금탕(黃芩湯), 갈진탕(葛振湯), 대추탕(大棗湯), 조삼탕(棗蔘湯), 익비탕(益脾湯), 대추평위산(大棗平胃散), 보익대추죽(補益大棗粥), 영계감조탕(巔桂甘棗湯)등이 있다.


산조인(酸棗仁)은 평(平)하고 산감(酸甘)한 맛을 지녔으며 주로 간(肝), 심장 및 비경(脾經)으로 들어간다.

산조인을 이용한 그 밖의 처방은 산조인죽(酸棗仁粥)과 원비탕(元肥湯)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