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추의 성분 분석
대추과실 가운데 가장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당질로, 생과는 과중의 24∼31%, 건과는 58∼65% 정도가
단당류와 다당류로 되어 있어서 일반 과종에 비하여 월등히 높다.(표 참조)
<표> 대추 과실의 성분함량(재래종, 가식부 100g 중)
구분 |
수분 |
열량 |
단백질 |
지질 |
탄수화물 |
회분 |
칼슘 |
인 |
철 |
비타민 | ||||
당질 |
섬유 |
A |
B1 |
B2 |
니아신 | |||||||||
생과 |
59.9 |
154 |
2.4 |
0.9 |
24.1 |
1.8 |
0.9 |
- |
- |
3.9 |
103 |
0.03 |
0.42 |
5.1 |
건조 대추의 수용성 추출액 가운데 당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표와 같다.
일본산과 중국산 대추가주로과당(果糖)·포도당(葡萄糖)·오리고당(寡糖;oligosaccharide)로 조성되어
83.4∼76.4%를 차지하고 있다. 아라비난(arabinan)과 갈락트로난(galactronan)은 각각 소량씩 함유되어 있고
설탕은 중국에서만 8%정도 들어 있는데 일본산 대추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약리적으로 중요한
작용을 하는 배당체(配糖體)의 구성성분이면서 대추에만 함유되어 있는 대추당(zizyphoside)이 상당량 들어 있다.
아미노산은 라이신(lysine), 아스파트산(aspartic acid), 글라이신(glycine), 아스파라진(asparagine),
글루타민산(glutamicacid), 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로이신(leucine), 프롤린(proline)등이 함유되어 있다.
<표> 건조대추 중 수용성 추출액의 당질조성
당질종류 |
일본산 대추 |
중국산 대추 |
과당(果糖) 포도당 과당(寡糖) 아라비난(arabinan) 갈락트로난(galactronan) 설탕 전당(全糖) |
36.1% |
30.8% |
대추의 신맛은 주로 사과산(malic acid)이며 소량의 탄닌도 함유되어 있다.
대추는 비타민도 비교적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건조대추100g중 비타민A 69Iu, 비타민B1 0.23㎎,
비타민B2 0.57㎎, 비타민C 188∼544㎎, 비타민P 354∼888㎎정도이다.
플라본(flavone) 및 플라본 글리코사이드(flavone glycoside)가 들어 있어서 약리효과가 높다.
사포닌(saponin)도 대추의 주요 성분으로서 과실·종자·잎·줄기·뿌리 등 대추 전체에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아래표 참조)
그밖에도 과실에는 에피카테친(epicatechin), 로코시아니딘(leucocyanidin), 트리메칠로레진산
(trimethylolagic acid), 마스리닌산(maslinic acid)의 쿠마로이레이트(comaroylate)일종인
베튜로닌산(betulonic acid), 오레아노린산(oleanolic acid), 마스린산(maslinic acid),
쿠마로일마스린산(comaroyl maslinic acid), 알피토린산(alphitolic acid), 하이드록시우르소린산
(hydroxyursonic acid) 등이 있다.
<표> 대추에 함유되어 있는 알칼로이드의 종류
알칼로이드 종류 |
검출부위 |
년도 |
연구자 |
프란구라닌(frangulanine) |
뿌리 |
1974 |
Otsuha, H. |
알칼로이드 종류
검출부위
년도
연구자
마우리틴A(mauritine A)
마우리틴B(mauritine B)
마우리틴C(mauritine C)
마우리틴D(mauritine D)
마우리틴E(mauritine E)
마우리틴F(mauritine F)
무쿠로닌A(murconine A)
무크로닌B(murconine B)
무크로닌C(murconine C)
무크로닌D(murconine D)
무크로닌E(murconine E)
무크로닌F(murconine F)
무크로닌G(murconine G)
무크로닌H(murconine H)
암피빈A(amphibine A)
암피빈B(amphibine B)
암피빈C(amphibine C)
암피빈D(amphibine D)
암피빈E(amphibine E)
암피빈F(amphibine F)
암피빈H(amphibine H)
암피빈I(amphibine I)
암피빈Ⅱ(amphibine Ⅱ)
아비세닌A(abyssenine A)
아비세닌B(abyssenine B)
아비세닌C(abyssenine C)
누무라린A(nummularine A)
누무라린B(nummularine B)
주바닌A(jubanine A)
주바닌B(jubanine B)
지지핀A(zizyphine A)
지지핀F(zizyphine F)
지지핀G(zizyphine G)
과실, 수피
과실
과실, 수피
과실
과실
과실
과실, 수피
과실
과실, 수피
과실
과실
과실
과실
과실
수피
과실, 수피
수피
과실, 수피
수피
과실
수피
과실
과실
과실, 잎, 수피
과실, 잎, 수피
과실, 잎, 수피
수피
수피
수피
수피
수피
수피
수피
1972,1976
1972,1976
1974,1974
1974
1974
1974
1972
1972
1972
1972
1974
1974
1974
1974
1972
1972
1972
1972
1972
1974
1976
1974
1975
1974
1974
1974
1976
1976
1976
1976
1973
1974
1974
Tschesche, R 외
Tschesche, R 외
Tschesche, R 외
〃
〃
〃
Wolfram, F. H. 외
〃
〃
〃
Tschesche, R 외
〃
〃
〃
Tschesche, R 외
〃
〃
〃
〃
〃
〃
〃
Tschesche, R 외
Tschesche, R 외
Tschesche, R 외
〃
Tschesche, R 외
〃
Tschesche, R 외
Tschesche, R 외
Tschesche, R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