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추향기 여울]/대추향기 자료
대추나무 병충해 빗자루병 방제
맹길스
2012. 2. 17. 19:21
빗자루병의 특성 | ||||
(1) 대추나무의 빗자루병은 마이코플라스마에 기인하는 전신 감염성인 병이며 | ||||
(2) 대추나무의 가장 치명적인 병으로서 잔가지의 끝부분이나 줄기의 각부분에 빗자루 모양으로 자라고 | ||||
(3) 개화 결실을 못하고 일단 발병하면 2~3년 내에 나무가 죽는다. | ||||
전염경로 | ||||
- 접목전염 | ||||
ㅇ 대추나무는 접목법에 의하여 번식되므로 접목에 이용되는 대목과 접수가 마이코플라스마균에 감염되어 있지 | ||||
ㅇ 않아야 한다. | ||||
- 곤충전염 | ||||
ㅇ 마이코플라스마균을 매개할 수 있는 해충은 마름무늬매미충을 비롯하여 모지뿔매미충, 끝동말매미충, 광대 | ||||
ㅇ 매미충, 애뿔매미붙이, 뿔매니충, 동굴매미충등인데 마름매미충은 건전주보다 이병주에서 발생밀도가 높다. | ||||
빗자루병 방제법 | ||||
- 전염 경로의 차단 | ||||
ㅇ 접목 번식시 실생대목에 무병주에서 채취한 접수를 사용 | ||||
ㅇ 마름무늬매미충을 비롯한 곤충에 의한 전염병이므로 본해충 발생시기에 일정한 간격으로 살충제를 살포하여 | ||||
ㅇ 전염경로 차단
| ||||
- 테라마이신의 수간 주입법 | ||||
(가) 시용 약제 : 옥시테트라싸이크린(테라마이신) | ||||
<약지 취급상 주의사항> | ||||
ㅇ 약액에 직사광선을 받지 않게 할 것 | ||||
ㅇ 건, 냉암장소에 보관할 것 | ||||
ㅇ 약지 보관 용기는 갈색 용기를 사용할 것 | ||||
(나) 약제 희석 농도 | ||||
ㅇ 희석할 물은 되도록 깨끗한 보통물을 사용하면 된다. | ||||
ㅇ 옥시테트라싸이크린(테라마이신 99%이상) 시판용 500mg 이나 250mg이 캡슐에 들어 있는 것을 이용한다. | ||||
ㅇ 물 1ℓ에 옥시테트라싸이크린(테라마이신 99%이상) 1,000mg을 희석시켜 1,000ppm 용액을 만든다. (캡슐껍질 | ||||
ㅇ 은 제외) | ||||
(다) 기구 | ||||
| ||||
| ||||
| ||||
(라) 약제 주입시기 및 횟수 | ||||
ㅇ 잎이 나오기 직전인 4월 중순~5월 상순이 최적기다. | ||||
ㅇ 병든 나무에는 1~2회 주입으로 정상적인 잎이 피고 정상적인 개화 결실을 볼수 있게 된다. | ||||
(마) 약액의 주입량 | ||||
ㅇ 고농도 소량 주입은 약액이 흡수된 병부분에만 치료가 되며 전신 치료는 불가능하다. | ||||
ㅇ 옥시테트라싸이크린에 의한 병징의 방제효과는 수간주입부 위 윗쪽에서만 나타나며 그 아래부분에서는 방제 | ||||
ㅇ 효과가 없다. | ||||
ㅇ 약액은 상부로만 이행되니 되도록 뿌리쪽에서 주입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 ||||
ㅇ 약액의 주입량은 15년~20년생을 기준으로 500~1,000cc를 주입하는데 나무의 크기에 따라 양을 조절한다
|